본문 바로가기
자산, 소득

(자산/소득) 순자산 10억은 상위 몇 %인가? - <2020 가계금융복지조사>

by 아빠 2021. 4. 21.

@Pixabay, mohamed_hassan

#오늘의 주제

요즘 ‘K-양극화’니 ‘중산층이 없어지고 있다.’ 등 자산 및 소득 격차가 심해지고 있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보았을텐데, 2020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를 가지고 우리나라 가구의 순자산 및 가구소득 상황을 확인해보기로 한다.

 

자세한 설명을 하기 전에 결론부터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.

<2020.03 기준> 가구 순자산

  - 5분위 평균 순자산 : 약 11.2억

  - 4분위 평균 순자산 : 3.88억

  - 순자산 10억 : 상위 7.2%

  - 상위 10% 가구의 순자산 : 8.34억

  - 상위 20% 가구의 순자산 : 5.37억

  - 순자산 5억 : 상위 21.8%

○ 다만, 위 가구 순자산은 1인 가구도 포함되었으며, 가구의 연령대도 고려되지 않은 값으로 만약 '가구주가 40~50대인 4인 가구 순자산'이라면 과연 어떨까?

 

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글을 읽어보시길 바란다.

 

 

# 양극화 심해지고 있는가?

① 분위별 순자산 확인

분위별 2017~2020 기간의 순자산을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.

순자산 분위 2017년
(만원)
2018년
(만원)
2019년
(만원)
2020년
(만원)
17년 대비 20년
증감률(%)
1분위 950 978 864 675 -29%
2분위 8,404 9,069 8,988 8,992 7%
3분위 18,982 20,300 20,283 20,493 8%
4분위 34,832 37,528 37,743 38,773 11%
5분위 94,670 103,956 108,517 112,481 19%
평균 31,572 34,368 35,281 36,287 15%

순자산이 많을수록 순자산이 훨씬 많이 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. 이 자료가 2020.03 기준의 자산 가격을 기준으로 하였기에 2020년 자산가격 상승분을 반영한 2021.03 기준으로는 5분위의 순자산은 더 늘었으리라 짐작된다. 2021년 공시가격 상승률도 전국 평균 19%나 상승하지 않았던가?

2020년 5분위의 평균 순자산이 약 11.2억이니 2021년 5분위 평균 순자산은 13~14억 되지 않을까? (단순히 공시가격이 인상률 19% 적용한 뇌피셜입니다.)

흥미로운 사실이 2개 있는데 첫째는 '4분위와 5분위의 평균 순자산 차이가 굉장히 많이 난다'는 점이고. 둘째는 '1분위의 경우 950만원이었던 순자산이 오히려 675만원으로 줄었다는 사실'이다. 그래프로 확인해보면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다.

5분위 순자산이 가장 가파르게 늘었다.

 

② 분위별 가구소득 확인

분위별 2017~2020년 기간의 가구소득을 보면 아래 표와 같다.

소득분위 2017년
(만원)
2018년
(만원)
2019년
(만원)
2020년
(만원)
17년 대비 20년
증감률(%)
1분위 1,001 1,057 1,104 1,155 15.4%
2분위 2,556 2,657 2,725 2,763 8.1%
3분위 4,323 4,464 4,577 4,671 8.0%
4분위 6,590 6,825 6,977 7,126 8.1%
5분위 12,921 13,520 13,754 13,903 7.6%
평균 5,478 5,705 5,828 5,924 8%

가구소득의 절대금액은 당연히 5분위가 가장 많이 늘었겠지만, 최저임금 상승의 효과인지 1분위의 소득 증감율이 15.4%로 가장 높다. 이는 1분위의 순자산이 같은 기간 29% 감소된 것과 대비된다.

 

평균 가구소득은 8% 증가(평균 순자산은 15% 증가)

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지만, 순자산 상승 기울기와 가구소득 상승 기울기를 비교하면 순자산 상승 기울기가 더 가파름을 알 수 있다. 쉽게 생각하면 내 월급은 안 올랐는데, 집값이 올랐다고 해석하면 될 것 같다.

 

 

#순자산 10억은 상위 몇 %에 해당하는가? 상위 10% 가구의 순자산은 어느 정도일까?

자산가격 대폭등 시기에 순자산이 늘어난 사람들이 많아서인지 최근 블로그 검색 유입 키워드 중 ‘순자산’에 대한 비중이 높다. 아마도 현재 자신의 위치가 우리나라 전체에서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해보고자 하는 욕구 때문이리라.

 

① 순자산 10억은 대한민국 가구 중 몇%에 해당할까?

2020 가계금융복지조사(2020.12)의 가구당 순자산 보유액 분포를 보면 아래와 같다.(표가 전부 안 보이면 좌우로 스크롤하십시오)

순자산
(억원)
-1 미만 -1~0 0~1 1~2 2~3 3~4 4~5 5~6 6~7 7~8 8~9 9~10 10 이상
분포(%) 0.3 3.1 28.8 17.4 12.7 9.3 6.7 4.8 3.4 2.7 2.1 1.6 7.2
누적(%) 100 99.8 96.7 67.9 50.5 37.8 28.5 21.8 17 13.6 10.9 8.8 7.2

순자산 10억 이상 가구는 7.2%에 해당한다. 쉽게 얘기하면 대한민국에 100가구가 있다면 순자산 10억은 대략 7번째로 순자산이 많은 집에 해당한다는 의미이다. 누적개념으로 보면 9억 이상 가구는 8.8%(7.2% + 1.6%)이며, 순자산 2억 근처가 상위 50% 정도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.

 

② 그렇다면, 상위 10% 가구의 순자산은 어느 정도일까?

2020 가계금융복지조사.(2020.12)의 순자산 분위 경계표를 보면 아래와 같다.(표가 전부 안 보이면 좌우로 스크롤하십시오)

% P10 P20 P30 P40 P50 P60 P70 P80 P90
분위 경계값
(만원)
1,011 4,320 8,884 14,110 20,217 27,780 37,940 53,600 83,732

상위 10%에 해당하는 가구의 순자산은 8억 3,732만원이다. 쉽게 얘기하면 대한민국에 100가구가 있다면 10번째 가구의 순자산은 8억 3,732만원이라는 의미이다. 위 두 자료를 합쳐서 표현하면 가구별 순자산 분포는 아래와 같다.

 

 

# 현실과의 괴리

① 현실 Vs 허세

어떤 사람이 ‘내 주변에 순자산 X억 이상인 사람 많다’고 하면,

누군가는 가구별 순자산 통계를 보여주면서 ‘순자산 10억 이상은 전체 가구의 7.2% 수준이다. 현실을 모르고, 허세부리지 마라’

면서 인터넷 게시판에서  서로 논쟁하는 경우를 종종 보게 된다.

 

누구 말이 맞을까? 내 생각에는 둘 다 맞는 소리를 하고 있는 것 같다. 다만 서로 상대방 상황을 모르니 오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? 본인이 생각하는 순자산 규모를 얘기할 때 본인의 나이와 결혼 유무, 자녀 유무를 오픈하고 얘기하면 서로 생각하는 것에 큰 차이가 안 나는 것을 알 수 있지 않을까?

 

② 가구별 순자산의 함정

‘우와! 순자산 10억이면 완전 부자네’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, 진정하고 좀 더 냉정하게 살펴보자. 이 조사 결과는 A) 가구주 연령에 대한 구분이 없는 값이며, B) 1인 가구도 포함하고 있으며, C) 우리나라 1인 가구 비율이 결코 낮지 않기 때문이다.

 

□ 가계금융복지조사 개요 中 발췌

더보기

  - 조사·분석단위: 1인 가구와 혈연, 결혼, 입양 등으로 맺어져 생계를 함께하는 가족

  *취업, 학업 등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외지에 거주하는 가족(주말부부, 학기 중 외지거주 학생 등)은 포함하고, 가족이 아니면서 함께 거주하는 가구원(가사사용인, 하숙인 등)은 제외

함정을 하나씩 생각해보자.

 

A) 가구주 연령 구분 없음 :  가구주 연령별 순자산을 보면 20~30대에 비해 40~50대의 순자산이 확실히 많음을 알 수 있다. 20대에 비해 40~50대의 순자산은 거의 5배에 육박하며, 30대에 비해서도 40~50대의 순자산은 약 1.5배 이상이다.

20~30대와 40~50대 순자산을 비교해보자

 

B) 1인가구 포함 : 1인 가구에 비해 4인 가구의 순자산 평균이 높을 것이라는 것은 조금만 생각해보면 예상할 수 있으며, 데이터로도 1인가구 순자산은 약 1.5억인데 반해 4인 가구의 순자산은 약 4.7억으로 3배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다

1인가구의 순자산은 4인 가구의 1/3 수준이다.

 

C) 1인가구 비율 :  혹시, 1인 가구 비율이 매우 적어서 별 영향이 없는 건 아닐까 싶어, 인구총조사(2019)를 찾아보았다.결과는 1인가구 30.2%, 2인 가구 27.8%로 1~2인 가구의 비율이 전체 가구의 절반을 훌쩍 넘는다.

* 오히려 1인~2인 가구가 비중이 크기 때문에 가계금융복지조사의 '가구 순자산'은 자녀가 있는 40~50대 가구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.

전체 인구의 58%가 1~2인 가구이다.

보통 사람들의 비교 대상군이 자신의 주변 사람들일 것이고, 40대 4인 가구의 경우 본인 주변의 40대 4인 가구와 비교하면 당연히 그 값은 20~30대 1~2인 가구가 포함된 통계 수치보다 훨씬 금액이 클 것이다. 반면 자산의 축적 기간이 짧은 20대 1~2인 가구에게는 그 금액이 너무 큰 금액이므로 현실과 맞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다.(결국 양쪽 말이 다 맞는 것 같다.) 이는 우리가 단순히 가계금융복지조사의 가구별 순자산 수치만 보고 방심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이다.

 

③ 우리가 해야할 일

그런데 이런 일로 싸울 필요가 있나 싶다. 상위 몇 %안에 들면 누가 상금을 주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.

상위 %에 속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, 남들과 비교하지 말고, 어제의 나와 경쟁해야 한다.

물론, 지금까지 알아본 바가 결국 다른 사람 대비 나의 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는 내용이었지만, 어디까지나 나 자신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앞으로 나가는 동기부여로 삼는데 그쳐야 한다. 남들과 비교하면서 시기·질투하거나 우월감을 갖는 것은 인생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해가 된다. 

 

☞ 40~50대는 ‘내가 순자산 X억이니까, 상위 %네. 이제 좀 편하게 살아야겠다’라는 자만하거나, 20~30대는 ‘망할 세상. 나만 돈이 없네. 이번 생은 틀렸어요’라고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.

☞ 40~50대는 방심하지 말고 조금 더 허리띠 졸라매고 달려야 하고, 20~30대는 포기하지 말고 지금부터 달리면 된다. 늦지 않았다.

☞ 오늘도 나는 허리띠를 졸라맨다.

 

 

대한민국 중산층 기준 및 나는 중산층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다면 아래 글을 읽어보길 권한다.

2021.04.12 - [자산, 소득] - (자산/소득) 순자산 15억은 중산층인가? 부자인가? 서민인가? - 2021년 중산층

 

(자산/소득) 순자산 15억은 중산층인가? 부자인가? 서민인가? - 2021년 중산층

#오늘의 주제 아래 링크의 글에서 언급했다시피 요즘 갑자기 벼락거지가 된 사람도 많지만, 주변에 갑자기 순자산이 10억, 20억이 되버린 사람들도 많이 보인다. 오늘은 '나(우리)는 서민인가? 중

odfd.tistory.com

 

댓글